화장실칸막이란? 큐비클의 유래와 이해 !!
큐비클 cubicle 사전적 의미
(큰 방 한 쪽을 칸막이 해 만든) 좁은 방
언젠가 부터 큐비클은 건설 현장에서
화장실칸막이를 지칭하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그럼 이 녀석은 언제부터 우리 삶에 들어왔을까요?
대한민국의 공중화장실은 조적으로 쌓아서 만들었습니다.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벽을 만들고 나무문으로 만들었죠.
남자 소변기는 별도로 있는것이 아니고 1자로 턱을 만들고
벽에다 소변을 보면 물구배를 만들어 빠져나가게 하는 형식 입니다.
청결과는 거리가 멀죠.
먹고 사는게 급했던 시절에 화장실 문화 개선은
꿈도 못꿀 일이죠.
헌데 1980년대 들면서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합니다.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고도 성장으로 스카이라인이 형성이 되고
사회 기간망이 확충이 되었으나
디테일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중 하나가 화장실 입니다.
당시 유럽이나 일본에서 공중화장실에 사용되던 목재 화장실칸막이
즉 큐비클이 국내에 들어 옵니다.
그게 국내 큐비클의 시작이죠.
고려큐비클 바로가기 클릭 ! --->솔리드 화장실칸막이 보기
노몰딩화장실큐비클과 몰딩형화장실큐비클의 차이
큐비클은 LPM(Low Pressure Melamine) 혹은 HPM(High Pressure Melamine)을 접지시켜 사용하는데
LPM은
일반적으로 몰딩형화장실칸막이에 사용되고, HPM은 노몰딩화장실칸막이에 사용됩니다.
몰딩형큐비클은 PB 판넬 주변을 샷시로 마감하고 디자인이 한정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몰딩큐비클은 몰딩큐비클에 비해 가격이 다소 비싸지만 방수 효과와 마감 디자인이 좋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쉽게 설명하면 구형 큐비클이 몰딩화장실칸막이고, 신형이 노몰딩큐비클라 봐도 무방합니다.
화장실칸막이 시공 방법은 부속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유사합니다.
시공의 견고함도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시공팀은 오랜 경험을 갖추고 있어서 차이점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장의 인테리어 상황 및 컨셉에 따라 제품이 제안되어야 하고 그에 맞는 제품이 시공이 되어야 합니다.
화장실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것은 타일,천정 그리고 큐비클입니다.
위에 3가지 제품 선택은 비주얼적인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최적의제품을 제안해드리겠습니다.
베트남의 큐비클 모습입니다.
출장중에 촬영해보았습니다.
국내 큐비클보다는 디자인이 조금 떨어지는 모습이지만
방식은 해외 큐비클과 같은 형태라는 걸 아실 수 있습니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파티클 보드 입니다.
유통되는 화장실칸막이의 80% 이상이
파티클 보드 입니다.
국내 큐비클 모습입니다.
받침대가 들어간 형태의 일반형 큐비클이지만 천정까지 올리는 방식으로
메탈 헤어라인 마감재로 고급스러움을 살렸습니다.
'큐비클 > 화장실큐비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비클 종류와 화장실칸막이 심재의 종류를 이해하자_소재의 정리 (0) | 2020.03.02 |
---|---|
중국의 화장실칸막이/강화유리 소변기칸막이 <세계의 큐비클> (0) | 2019.04.09 |
세계의 큐비클 모습_베트남 화장실칸막이와 소변기칸막이 (0) | 2019.04.05 |
강화유리소변기칸막이 / 큐비클소변기칸막이 (0) | 2019.01.07 |
장애인화장실큐비클 (0) | 2019.01.07 |